본문 바로가기

IT/BroadCast

[News] DCAS

[알아봅시다] CASㆍDCASㆍ사이멀크립트
케이블카드 분리규제 완화 움직임
수신제한시스템 유료방송 '빅이슈'

◇ CAS - 돈을 지불한 수신자만 채널접근
유료방송 구현 위한 핵심시스템

◇ DCAS - 서버서 보안 보장된 칩에 다운로드
유선방송 기준 개정없이 도입 가능

◇ 사이멀크립트 - 한개 이상 CAS를 동시에 운용
정책적ㆍ기술적 검토 이뤄져야



요즘 케이블방송업계에서는 수신제한시스템(CAS)이 새삼 이슈입니다. 지난달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열린 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Klabs) 컨퍼런스에서도 CAS가 메인 메뉴였습니다. 케이블 업계가 CAS에 주목하는 이유는 정부가 케이블 카드 분리 규제를 완화하려는 움직임이 있기 때문이죠. 한발 더 나아가 업계는 이번 기회를 국산 CAS 확산의 계기로 삼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CAS(Conditional Access System)는 돈을 낸 가입자만이 해당 방송 프로그램 혹은 채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CAS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방송 사업자가 방송 콘텐츠에 암호를 걸어 케이블이나 위성, 지상파,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수신자에게 보냅니다. 이때 수신자가 대가(시청료)를 치른 경우에만 암호를 풀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암호를 풀 수 없어 스크램블 처리됩니다. 프로그램 단위로 구매(PPV:Pay Per View)하는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CAS는 유료 방송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시스템입니다.

CAS 시스템은 방송국 단에서 방송콘텐츠를 암호화하고 가입자를 인증하는 장비, 그리고 가입자 단에서 가입자 정보를 담은 장치(케이블카드) 등으로 구성됩니다.

우리나라의 케이블 방송은 미국식 표준인 오픈케이블(OpneCable) 방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오픈케이블은 가입자 정보를 별도의 케이블카드(제한수신 모듈)에 담아 셋톱박스(가입자 단말장치)로부터 분리/장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유선방송국설비 등에 관한 기술기준'에 명시된 `디지털유성방송에서의 가입자 제한과 복사방지를 위한 제한수신 모듈은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 분리 또는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는 조항이 바로 이같은 내용입니다.

이같은 오픈케이블 표준은 가입자가 케이블 방송국을 바꾸어도 케이블카드만 교체하면 이전의 셋톱박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에서 마련된 것입니다.

하지만 국내 케이블방송 사업자들은 이같은 규정을 유예해줄 것을 요구해 왔으며 방송통신위원회도 이를 신중히 검토하고있습니다. 케이블 사업자들은 케이블카드를 별도로 구입할 경우 비용이 상승해 디지털케이블 확산에 어려움이 있고, 케이블카드를 셋톱박스에 장착할 때 발열로 인해 고장률이 높다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 우리나라는 미국과 달리 소비자가 소매 시장에서 셋톱박스를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임대 또는 할부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배포하기 때문에 굳이 케이블카드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규제 기관이 케이블카드 분리 의무 규제를 완화할 움직임이 보이자 케이블방송사업자와 CAS 업체들이 바빠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케이블카드 분리 규제 이후 대략 3가지 방향으로 대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우선, CAS 모듈을 셋톱박스에 내장(임베디드 CAS)하는 것입니다. 이는 셋톱박스 가격을 낮추고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케이블방송 사업자가 셋톱박스 또는 CAS 업체에 의존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두번째는 셋톱박스내에서 물리적인 하드웨어 대신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입자 정보 등을 처리한다는 방식입니다. 소프트웨어 CAS라 불리는 이 방식 역시 가격을 낮출 수 있지만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내 업체들은 다운로드형 CAS(Downloadable CAS:DCAS)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DCAS는 셋톱박스에 사업자가 제공하는 CAS가 미리 설치돼 있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연결시 서버로부터 CAS를 보안이 보장되는 칩(Secure Micro)에 다운로드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CAS뿐 아니라 디지털저작권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나 ASD(Authorized Service Domain)과 같은 다른 보안모듈도 함께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 케이블 사업자들이 DCAS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외산 CAS의 종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DCAS를 도입하면 현재 케이블카드에 장착된 외산 CAS를 밀어내고 국산 CAS를 채택할 수 있습니다. DCAS는 현재 유선방송 기술 기준을 개정하지 않고도 도입할 수 있습니다.

국내 디지털케이블 CAS는 NDS, 나그라비전, 코낙스, 이데토 등 외산 업체들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스카이라이프, IPTV 등 신규 유료방송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초기에 검증된 국산 CAS가 부재한 상황에서 신속한 서비스 론칭을 위해 외산 CAS를 도입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국내 유료방송 시장이 외산 CAS에 종속되고 막대한 비용을 외국에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DCAS는 자연스럽게 사이멀크립트(simulcrypt) 이슈와 연결됩니다. 사이멀크립트란 한 개 이상의 CAS를 동시에 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DCAS를 도입하면 기존 CAS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멀크립트에 대한 정책적, 기술적 검토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DCAS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관련 업체들도 개발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Klabs는 현재 2개 그룹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DCAS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1그룹에서는 LG CNS, 디지캡, 액스크립트, 티비스톰, LG전자, DST가, 2그룹에는 알티캐스트, LG전자, 삼성전자, 휴맥스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표준화를 완료한 뒤 내년도에는 상용 가능한 수준까지 DCAS 및 셋톱박스를 개발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DCAS 개발에 반대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주로 NDS, 나그라비전 등 기존 CAS 사업자들인데요. 이들은 △DCAS를 도입해도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보다 미약하고 △보안 문제가 발생할 경우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며 △북미에서도 아직 DCAS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반대 이유로 들고 있습니다.

강희종기자 mindle@

'IT > BroadCa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eg header 구조  (0) 2015.10.05
화면 해상도  (0) 2014.12.10
화면 해상도  (0) 2012.04.25
mpeg stream type  (0) 201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