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Ubuntu

chmod

==================================================

모드의 경우 크게 심볼 모드와 8진수 모드가 있습니다. 먼저 심볼 모드를 알아보면 심볼 모드는 허용대상과 허가권을 +, -, = 으로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허가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u 소유자 (user)
g 소유그룹 (group)
o 타인 (others)
a 모두 (all)

+의 경우는 허가대상에게 해당 허가권을 추가해 줄 경우 사용되며 -의 경우는 허가권을 박탈할 때 사용됩니다. =의 경우는 기존 허가권을 일단 모두 없애고 뒤따르는 허가권으로 완전히 새로 넣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아래는 해당 내용의 예입니다.

chmod o-rw file1 : file1에서 타인의 읽기와 쓰기 허가권을 박탈합니다.
chmod go=r file1 : file1을 소유그룹과 타인은 읽기만 가능하게 합니다.
chmod a+r file1 file2 : file1, file2에 모두에게 허가권을 부여합니다.
chmod u+x,go-r file1 : file1에서 소유자에게 실행 허가권을 부여하고 소유그룹과 타인에게는 읽기 허가권을 박탈합니다.

8진수 모드의 경우는 사용자, 그룹, 타인의허가권을 각각 나타내는 8진수 3개로 이루어 집니다.
이 경우는 심볼 모드가 특정 허가대상에서 허가권을 부여하거나 박탈하거나 지정 함으로 허가권을 변경하는 반면 특정 파일의 허가권을 모든 허가대상에 대해 바로 지정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8진수 모드에서 읽기는 4, 쓰기는 2, 실행은 1에 해당합니다. 사용자, 그룹, 타인에 대해 각각의 해당하는 소유권이 있을 경우 해당하는 숫자를 더해서 8진수 모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ile1에 rwxr-x---로 허가권을 주고 싶다면 (4+2+1=7, 4+1=5, 0) 아래와 같이 명령하면 됩니다.

chmod 750 file1

서브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에까지 변경된 허가권을 적용시키고자 할 경우는 -r 옵션을 주며 -v 옵션을 주면 변경되는 모드에 대해 보여주게 됩니다.

==================================================
▷ $chmod 707 upload_file

( 'upload_file' 디렉터리의 퍼미션을 707 을 줍니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TFTP 서버 사용  (0) 2009.02.26
ft2build.h 파일을 찾을수 없을때..  (0) 2009.02.24
push : not found  (0) 2009.02.23
iso 이미지 마운트 하기  (0) 2009.02.23
윈도우 서버(삼바)에 접속하기  (0) 2009.02.16